환경깡패가 되는 길
💙수질 | TOC(총 유기탄소) 본문
TOC(총 유기탄소)
TOC = Total Organic Carbon
폐수 내에 유기물 상태로 존재하는 탄소의 양
시료를 고온으로 태우는 등의 방법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측정하여 탄소량으로 표현한 지표
물속에 함유된 생물학적 및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유기물질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중의 탄소양
COD와 BOD시험에 내포되어 있는 불명확한 인자들을 포함하지 않는 폐수의 유기물 추정의 한 방법
관련 법규
「물환경보전법」시행령 별표7, 별표8의2, 별표14
「물환경보전법」시행규칙 별표10, 별표13, 별표20
BOD, COD, TOC 비교
구분 | BOD | COD Mn | TOC | |
측정원리 |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 시 소비되는 산소량 측정 |
유기물질 산화 시 소비된 산화제량 (산소량) 측정 |
유기물질 내 탄소량 직접 측정 (C를 이산화탄소로 전환하여 측정) |
|
분석 | 산화제 | 호기성 미생물 (20도, 5일 배양) |
과망간산칼륨 (끓는 물 중탕) |
고온연소산화(550도), 습식산화방식 등 |
결과값 | 산소량 (mg/L) | 탄소량 (mg/L) | ||
측정 | 대상 | 저분자(포도당, 지방) 유기물질 | 저분자 및 고분자(합성수지, 섬유소 등 분자량이 1만 이상 등으로 용해가 잘 안되고 결합이 강한) 유기물질 | |
범위(경험적) | 20~40% (5일) | 30~60% (0.5~1시간) | 90% 이상 (실시간) | |
예) 전분 분석 결과 (일본 논문) | ||||
방해물질 | 고분자 유기물질 등 | 염소 등 | 무기물질 등 | |
특징 | 생분해성 유기물질 측정 | 우리나라, 일본 통용 | 신속, 다량, 자동화 |
전환하는 이유
- COD는 산화율이 낮아 난분해성 유기물까지 포함한 전체 유기물질 총량을 측정하지 못함에 따라 유기물질 관리에 한계
- 공공수역(하천, 호소)에 설정된 TOC 생활환경 기준(`13.1월 도입하여 `16.1월부터 적용 중)과 연계한 체계적인 유기물 관리를 위해 TOC 기준 도입 필요
- 수질분석 및 수질자동측정기기 등의 선진화된 기술·제도 도입으로 정부와 민간의 수질관리 효율성 제고
마무리
2021년부터는 기존 공공폐수처리시설, 2022년부터는 기존 폐수배출시설에도 TOC가 적용된다고 하니 환경 실무자분들께서는 미리미리 변경신고 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.
Comments